- ESG란?
-
ESG는 투자자 관점에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(환경, 사회, 지배구조)를 판단하는 지표
기업이 경제적 가치 외에 환경사회적 가치를 적극 고려하고 창출하여 기업의 명성과 가치를 제고하는 활동을 통칭
- 주요국가 ESG요구 현황
-
전세계적으로 정부 차원의 ESG 관련 정책 및 제도가 강화되고, 민간 부문(기업, 금융기관)도 사업 내 ESG 내재화 활발
ESG 흐름이 점차 보편화되어, 중견기업의 ESG경영이 필수 불가결한 생존 전략으로 자리잡아 발 빠른 대응이 요구
- 유럽 Europe
-
탄소국경세 세부계획안 발표 및
‘23년 시행 주요 산업의 공급망 ESG 요구전세계 ESG 규제 건수가 7년 만에 27건에서 203건으로 증가
유럽발 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며 ESG의 큰 동력으로 작용
EU 집행위는 ’21년 4월, ‘기업 지속가능성 보고지침(CSRD)’ 을 통해 중소기업까지 공시 보고 의무 범위를 대폭 확대하겠다는 방침 발표
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(Due Diligence) 의무화 입법권고안 채택(’21)
유럽에 상품 및 서비스를 수출하는 기업 중 환경민감도가 큰 업종에 적용
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(Due Diligence)제도 도입 (‘21년 2분기)
EU시장 진출 기업에 공급망 전 과정상 인권, 환경 등 확인,보고,개선 의무
EU차원에서 중점 육성 중인 산업(배터리 등) 타켓 조치 가시화
독일: 공급망 실사 의무화 법안 확정 ’23년부터 위반기업에 최대 연 매출2%과징금
- 중국 China
-
시진핑 주석의 ’30-60 목표’ 제시
ESG관심 본격화, 기업 차원의 ESG 활성화현재, 중국 ESG는 발전 초기단계로, 기업 공시 의무화 규정 없음
단, ’20.10 기준으로 상장기업의 ESG 자발적 공시 증가(상하이 거래소의 34.7% 상장기업, 선전거래소의 17.1% 상장기업)
‘18년 상장기업 관리규정 내 ESG 명확히 제시하며, 투자자 관점의 ESG의 중요성 강조
’20년 9월, UN 총회에서 시진핑 주석의 ‘30-60 목표(2030년까지 탄소배출 정점을 찍은 후, 2060년까지 탄소중립)’ 제시로 ESG 관심 본격화
기업 차원의 ESG 활동 활성화
BYD(중국 전기차/배터리 제조업체), ESG 경영도입 및 CSR 보고서 지속 발간 (’10~)
中 흥업은행, ’08년 적도원칙 가입 후 11년 연속 ESG 정보 공시 수행
JD.COM(京东), ’20년 첫 ESG 보고 발표
- 미국 USA
-
심산업
ESG 공급망 구축 정책바이든 대통령,「미국 공급망 행정명령(E.O. 14005」서명(‘21.2.24)
핵심품목(반도체, 배터리, 에너지 등) 타겟 공급망 검토 보고서 제출
핵심·필수 품목 ·소재 발굴, 공급망 위협요인(기후변화, 불법노동 포함) 지목
미국 내 선도기업 중심으로 RE100 가입 유도 등 공급망 환경 요구 강화
- 정부
-
기업의 ESG경영 추진 지원을 위한
K-ESG 가이드라인 발표
- 민간
-
국내 대기업 및 금융기관은
사업에 ESG를 내재화 하기 위한 움직임 활성화
최근 협력사 ESG 경영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발표
- ESG가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
-
ESG는 산업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"직접규제"와 금융기관을 통한 "간접규제" 형태로 기업경영에 영향
중소기업은 고객사와 금융기관으로부터 다양한 ESG 활동을 요구 받는 상황
- 중소기업 ESG 관리항목(안) 도출
-
환경(E)부문 : 다른 부문에 비해 지표가 상대적으로 세분화 (5개 중분류, 19개 세부지표) 되어 있음
음영 처리된 항목은 업종 및 사업장의 특성 등에 따라 배출되는 오염물질 종류에 한해 적용여부 결정
사회(S), 지배구조(G) 부문 : 중소기업의 특징(규모 등) 및 관리 효율성을 고려하여필수 요구사항만을 최소한으로 반영
대분류 | 중분류 | 항목 | 세부내용 |
---|---|---|---|
환경 (E) |
환경경영 | 전략 | 환경경영 목표와 세부 추진 계획을 보유하고 있습니까? |
시스템 | 환경경영 실행을 위한 내부 성과관리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습니까? | ||
인증 | 사업장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인증(ISO 14001 등)을 확보 또는 준비하고 있습니까? | ||
컴플라이언스 | 환경법규 준수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있습니까? | ||
환경오염예방 | 대기 | 대기오염물질 관리(NOx, SOx, 먼지 등 배출량 파악 및 관리, 저감 프로그램 등)를 하고 있습니까? | |
수질 | 수질오염물질 관리(BOD, COD/TOC, SS, T-P, T-N 등 배출량 파악 및 관리, 저감 프로그램 등)를 하고 있습니까? | ||
폐기물 | 사업장 내 폐기물 관리(일반∙지정∙건설폐기물 발생량 및 매립∙소각∙재활용∙기타 처리량, 원천저감 프로그램, 재활용 촉진 등)를 하고 있습니까? | ||
화학물질 | 화학물질 관리(배출량 파악 및 관리, 저감 프로그램 등)를 하고 있습니까? | ||
기타 | 토양/지하수, 해양오염, 소음진동 등 기타 환경오염 예방 및 저감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까? | ||
사고예방 | 환경오염 사고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및 (사고 시)비상대응절차가 마련되어 있습니까? | ||
자원사용절감 | 원부자재 | 원부자재 사용량 관리와 절감(재생소재 사용 등)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까? | |
수자원 | 사업장 내 용수사용량 관리와 절감(재이용 등)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까? | ||
에너지/온실가스 | 에너지절감 | 에너지 사용량 관리(직접에너지/간접에너지 사용량)와 절감을 위한 활동(고효율설비, 에너지관리시스템 등)을 하고 있습니까? | |
재생에너지 | 태양광, 풍력, 지열 등 사업장 내 재생에너지 사용(구매∙생산)하고 있습니까? | ||
온실가스 | 온실가스 관리(직접/간접 배출량 산정, 관리, 보고)와 감축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까? | ||
제품환경 | 기술투자 | 제품의 환경경쟁력 확보를 위해 R&D투자, 기술 확보 등의 노력을 하고 있습니까? | |
친환경설계 | 제품 설계 시 수송, 사용, 폐기단계 등 제품의 전 과정에 미치는 환경영향을 고려하고 있습니까? | ||
제품/기술 인증 | 제품∙기술에 대한 친환경인증(환경표지, 우수재활용(GR), 저탄소 인증, 녹색기술, 환경신기술 등)을 확보 또는 준비하고 있습니까? | ||
소비자보호 | 제품 사용 시 소비자 건강과 안전보호를 위한 대책(위험고지 등)을 마련하고 이행하고 있습니까? | ||
사회 (S) |
인권/노동 | 근로조건 | 법정 근로시간 및 합리적 근로시간을 장려하고 산업평균 수준의 복지혜택(육아휴직, 지가계발 기회 확대 등)을 제공하고 있습니까? |
강제/아동노동 | 조직의 고용 관행 내 강제노동/아동노동을 금지하고 있습니까? | ||
다양성/기회균등 | 임직원에게 고용, 승진, 업무 수행에 있어 성별∙장애 유무∙출신국가 등 요건에 의한 차별 없이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까? | ||
직장내 괴롭힘 금지 | 근로자에 대한 폭력, 성폭력, 공개적 수치심, 폭언 등 괴롭힘 방지를 위한 규정을 도입하고, 위반 시 징계를 적용하고 있습니까? | ||
산업안전보건 | 산업재해 방지 | 산업재해 방지를 위해 매년 재해율 관리와 근로자 안전∙보건 정책 및 프로그램(안전보건 교육, 사업장 위험성 평가 등)을 운영하고 있습니까? | |
인증 | 사업장 또는 제품(기술)에 대한 안전보건경영 인증(ISO 45001, MADE SAFEⓇ 등)을 확보 또는 준비하고 있습니까? | ||
소비자이슈 | 개인정보보호 | 수집, 보관, 처리에 관한 정보 보안 법률 요건을 준수하는 개인정보 보안 규정 및 지침을 보유하고 있습니까? | |
제품 안전 및 품질 | 소비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품안전 및 품질기준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습니까? | ||
소비자 의견 수렴 | 소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피드백 할 수 있는 의사소통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습니까? | ||
사회공헌 | 지역사회 발전 및 참여 | 지역사회 공헌 및 개발을 공식적으로 지지하며 관련 활동(공헌방침 수립, 산학협력, 창업지원 등)을 수행하고 있습니까? | |
공급망 관리 | 환경 | 협력사 선정 시 법규준수 여부, 환경 리스크 등을 선정기준으로 적용하고 있습니까? | |
사회 | 협력사 선정 시 공정경쟁을 원칙으로 하며, 근로자 인권보호, 윤리경영 적용여부 등을 선정기준으로 적용하고 있습니까? | ||
지배구조 (G) |
ESG 경영체계 | 최고경영자 의지 | 최고경영자는 ESG 경영에 대한 실천의지가 있습니까? |
조직/시스템 | ESG 경영 추진을 위한 담당 인력 또는 조직이 있으며,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습니까 ? | ||
이사회운영 | ESG 기회 및 위기요인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이사회를 구성하고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까? | ||
준법경영 | ESG 관련 법규동향을 모니터링 하고 관련 리스크가 없도록 관리하는 조직과 절차가 마련되어 있습니까? | ||
윤리경영 | 반부패, 공정경쟁 등 사업청렴성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고 있습니까? | ||
커뮤니케이션 | 정보공개 | 이해관계자들의 ESG 정보공개 요구 대응을 위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도입하고 있습니까? | |
내부의사소통 | ESG 관련 이슈 발생 시, 내부 직원에 대한 비밀보장, 고충처리, 차별 및 보복 금지 등을 위한 규정을 도입하고 있습니까? |